9.        아홉째 날 ( 뱀부2310 – 시누와 – 촘롱 – 지누1780 )

아침에 일어나니 날씨가 너무 좋다. 시누와에 다 와가니 마차푸차레에서 신설이 날리고 있다. 어제 비는 높은 곳에는 제법 많은 눈을 뿌렸다. 시누와의 경치 좋은 로지에서 차랑 티벳탄 브레드를 먹고 나니 든든하다. 점심은 촘롱의 한 로지에서 먹었다. 가이드에게 달밧 정말 맛있게 하는 집으로 가자고 했는데 먹어보니 그만그만했다.

점심 먹을 즘에 또 비다. 완전 몬순날씨다. 물으니 이런 날씨도 가끔있어 열흘간 흰산 한번 못보고 가는 사람도 있다고 한다. 비가 곧 누그러지길래 걸음을 재촉하여 지누까지 왔다. 지누에는 온천이 아주 좋은 것이 있는데 안나지역의 또 다른 온천이 있는 따토파니의 것보다는 좀 못하다고 한다. 타토는 따뜻하다는 뜻이고 파니는 물이란 뜻이니 따토파니는 말그대로 뜨거운물이라는 뜻이다. 마실물을 시킬때도 따또빠니 달라고 하면 된다. 핫워터를 못알아들을 네팔리도 없겠지만. 먹고난뒤 미투차 혹은 데리 미투차 라고 하면 좋아한다. 맛있다는 뜻이다. 순다리는 예쁘다는 뜻인데 네팔말은 변화가 없어 예쁘다, 예쁜, 이쁜이 라는 뜻으로 다 쓰인다. 그것 말고 사랑해 라는 말도 배웠는데 너무 길어서 생략.

지누에 도착하여 간단히 챙겨서 계곡으로 내려갔다. 한 20분 내려가니 정말 계곡가에 20명은 들어감직한 동네 목욕탕의 온탕만한 온천탕이 3개나 있고 옷 갈아 입는 곳도 있다. 노인 한명이 기부금을 받는데 2명에 100루피 정도면 될 것 같다.

일본인이 예닐곱명 들어왔는데 일본 아줌마들은 역시 깔끔. 세숫대야를 어디서 구했는지(아마 자기네 나라에서 가져왔을 것 같다)하나씩 들고 수영복을 입고 꾸역꾸역 샤워까지 하고는 탕에 들어온다. 완전 국제 노천 온천이다. 한국인은 나밖에 없다. 나는 딱 온도가 맞는데 일본일 말로는 온도가 낮다나… 1, 2월 이라면 추울 수도 있겠으나 빠른 걸음으로 내려와 땀을 좀 흘린 다음이라면 괜찮을 것이다. 몇일간의 피로가 확 풀리는 것 같다. 이 산속에 그것도 차디찬 계곡에 따뜻한 온천이라니.

ABC를 간다면 내려오는 코스를 꼭 이곳으로 잡아 지누에서 일박을 하고 온천을 즐기길 강추. 올라갈때라면 혹시 감기의 위험이 있으니 피하는 것이 나을 듯하나 내려오는 길에 이 온천을 하지 않는다면 그것은 이곳 트래킹의 즐거움의 일 할은 놓치는 것이리라. 다음날 아침 5시에 이곳에 또 와서 혼자 즐기면서 아침을 맞으려 했으나 너무 일찍 잠이 깨는 바람에 새벽 3시에 내려왔다. 해 뜨는 것 보지 못하고 다시 랜턴 켜고 올라갔지만 혼자 누워서 별보면서 온천하는 것도 색다른 경험이다. 엎드리면 개구리헤엄이 절로 나오고. 흐흐흐.


10.        열흘째 (지누 – 킴체 – 비레탄티 – 나야풀 )
지누에서 란드룩을 거쳐 담푸스로 가려고 했다가 그냥 하루만에 포카라로 내려가기로 했다. 11일인 내일이 가이드가 자신의 누이에게 티카를 찍어줘야 하는 중요한 날이라고 하기도 했으나 치트완에 가보고도 싶었고 내려오면서 다른 마을을 하나 더 거쳐야할 필요성도 못 느꼈다. 산간 마을이 다 비슷비슷할 뿐더러 아랫마을은 무슨 뷰가 좋은 것도 없으리라. 지누 부터는 골짜리로 내려오는 코스가 되어서 마차푸차레나 다른 흰산은 보이지 않았다. 날씨 때문인지는 몰라도. 그래서 뉴브리지라는 낯익은 이름의 다리를 저 아래로 내려다 보면서 시아울리바자르 – 비레탄티를 거쳐 내려왔다.

아랫동네로 내려서니 너무 더워 반바지로 갈아입었다. 지누에서 온천할 것을 생각해서 반바지 하나 챙겼는데 밖에서도 입을 수 있어 좋았다. 이때까지는 좋았으나 비테탄티 다 내려와서 벌에게 그만 종아리를 쏘이고 말았다. 큰 땡벌에. 우리나라의 벌에도 여러 번 쏘여보았고 큰 알레르기는 없던 것으로 보아 걱정은 안했지만 무지 아팠고 몇일간 간지러워 힘들었다. 빨간 옷이랑 반바지랑 안 입는 것이 좋겠다.

비레탄티 마을 지나려하니 마오이스트들이 입산료 영수증 보자고 하였고 100미터도 못가서  올라갈 때 지났던 ACAP check point이다. 정부군과 마오이스트들이 서로 총질하던 것을 얼마전에 그만두었고 지금은 협상중이란다. 그래도 마오이스트들에게 입장료 또 내는 것은 우리의 지리산 성삼재 넘을 때 천은사 절 문지방도 밟지 않으면서 문화재 관람료라고 통행료 뜯기고 공원입장료 또 내고(지금은 아니지만) 할 때 기분처럼 더러웠다. 차라리 입장료 올려서 한번만 받고 저희들 끼리 반씩 나눠 갖던지…

나야풀에서 택시비 깍는다고 탄 것이 1250루피, 나중에 포카라에서 우연히(정말) 만난 러시아 걸들에게 물으니 갈때는 700루피, 올때는 1000루피 줬단다. 잘 흥정하면 더 낮출 수 있는데 내 한테나 한국 아저씨들에겐 원래 이런 것이 체질에 잘 안 맞을 것이다.

포카라에서 가이드를 소개해주고 짐의 일부까지 맡겨둔 카르키 게스트하우스에서 잤다. 카트만두행 그린라인 버스티겟을 환불신청하고 치트완 정글 투어 패키지를 구입했다. 보통 케스트 하우스에서 이런 것을 함께하는데 특히 이집 주인 카르키는 여러가지를 했다. 완전 장사꾼 냄새가 났고 실제로 자기집에서 하루 더 묵고 2박 3일 투어가도 14일에 카트만두 갈 수 있다며 다음날 버스 자리가 넉넉한데도 자리가 없다면서 뻥쳤다. 한사코 13일에 카트만두 들어가야한다니깐 그제야 다시 전화하는 시늉을 하더니 자리가 하나 있단다. 이집도 깨끗하고 옥상이 전망도 좋았고 숙박료도 그다지 비싸진 않았으나 이런 것을 연계로 자기집에 묵게 하는 것이 기분 별로였다. 이런 것을 피하려면 포카라에 와서 여러 에이젼시 중에 하나 들러든지 아니면 먼저 숙소를 정해놓고 에이젼시는 따로 하여 가이드나 다른 일을 보는 것도 괜찮을 듯하다. 카트만두에서 에이전시 통하면 그곳에서 남기고 포카라의 중개인이 또 남기고 가이드에게는 더 적에 돌아갈 것이고 포카라에서 묵고 싶은 곳에 묵을 수가 없을 수도 있다. 그렇다고 포카라에서 10불 정도 수준에서 특별히 좋은 곳으로 묵고 싶은 곳도 없긴하였다.

저녁에 가이드와 대구 아저씨의 가이드까지 불러내어 부근의 네팔 전통 춤을 보면서 식사할 수 있는 곳으로 갔다. 서울 뚝배기 같은 곳도 있으나 특별히 내키지 않았고 한국 사람들 만나면 뭔가 경쟁하고 경계하는 눈초리가 이상하여 그냥 다른 곳에서 먹었다.

올라가면서 내려오면서 한국사람을 많이 만나긴 했으나 반갑게 인사하면 세사람(혹은 세팀)에 한 사람(한 팀)은 꼭 경계하는 눈빛으로 인사를 받는 둥 마는 둥 했다. 특히 산에 좀 다닌 것 처럼 보이는 사람이 더 그랬다. 초보자에게 인사하고 이런 저런 정보를 말해주기가 뭐한가.